반응형
저는 국내 IT기업에서 시스템 개발 및 운영하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업무는 시스템의 기존 소스를 리팩토링 하거나 고객의 요청사항에 맞게 시스템을 수정하거나 신규 기능을 추가하는 업무입니다.
리팩토링은 하드코딩되어 있는 부분을 조건문과 반복문을 이용해서 재 구성을 하거나 업무 성격에 맞게 서비스 단위로 코드를 분류하는 작업을 했고, 기능 개발은 간신히 동작이 될 정도로 구현했습니다. (제대로 한 게 맞는지 확신이 없습니다..)
오히려 리팩토링을 하기 전 소스가 더 좋았던 것 같단 생각이 들 때도 많습니다 ㅠㅠ

이대로는 안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 알아보던 중 수학에는 수학의정석이 있다면 개발자에게는 Clean Code 라는 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로버드 C. 마틴의 Clean Code의 책을 읽고 나서가 아니라 읽으면서 리뷰를 하려고 합니다.
주위에 지인 분들과 여러 블로거 분들의 후기를 참고했을 때, 이 책은 일반 소설책처럼 눈으로만 읽는 것이 아니라 밑줄도 긋고 하이라이트 하면서 읽어야 할 것 같아요
밑줄, 하이라이트, 메모까지 하면서 읽고 다시 한번 복습까지 하겠습니다 :)
그럼 오늘부터 1일 1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반응형
'ETC >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ean Code] 예술에 대한 책을 읽는다고 예술가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0) | 2021.11.03 |
---|---|
[Clean Code] 자신의 기억력을 자랑하지 마라 (1) | 2021.10.17 |
[Clean Code] 우리는 모두 author 이다. (0) | 2021.09.29 |
[Book]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과 인연 (0) | 2021.09.27 |
[Clean Code] 사소한 곳에서 발휘하는 정직은 사소하지 않다 (0) | 2021.09.27 |